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는
한국의 전통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한국전통공연예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회지검색

Society for Korean Traditional Perfforming Arts

pISSN: 2288-6346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9 (2023)
pp.173~235

- 오늘날 강릉단오제의 몇 가지 문제들 검토 -

손태도

(호서대학교)

강릉단오제는 오늘날까지 유일하게 제대로 전승되고 있는 전통사회 의 고을굿으로 우리나라 문화예술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강릉단오 제의 오랜 역사에 비추어 이에 대한 우리 학문의 역사는 사실상 지극히짧다 할 수 있다. 또 그러한 학문 세계에서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것도 지극히 부분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강릉단오제와 관련된 많은 것들 중 단지 몇 가지들만이라 도 다뤄 보았다. 본 고에서 논의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관노가면극의 ‘시시딱딱이’는 강릉도호부 지방관아의 나례(儺禮) 때의 방 상시에서 나왔으므로 오늘날처럼 가는 눈에 짧은 비수를 소매 속에 감춘 것 과 같은 모습은 정말 잘못되었다. 빨리 방상시 계통의 원래 인물로 되돌려야 한다. 동해안굿의 굿장 밖에 높이 내다 거는 이른바 ‘흑애등’은 불교 의식에 서의 ‘허개(虛蓋)’에서 나왔다. 시대를 거슬러 가면 갈수록 오늘날과 같은 궁중악, 정악, 민속악의 구분이 없었다. 우리말의 3, 4자 중심의 말은 노래로 불릴 때 3ㆍ2ㆍ3 같은 장단을 취했다. 동해안굿에서의 ‘3ㆍ2ㆍ3’과 같은 청보의 장단 방식은 궁중악의 3ㆍ2ㆍ3 단위의 정간보(井間譜), 가곡․시조의 3․2․3 장단과 같은 것이다. 또 청보장단의 경우 ‘초장-2장-3장-4장-5장’과 같이 빨라지는 모습이 있어 이러한 3ㆍ2ㆍ3 장단의 시대에 따른 변모 양상도 살필 여지를 주고 있다. 판소리의 중모리장단은 오늘날 동해안굿이나 경기도당굿에 남아 있는 ‘삼 공잽이’ 장단에서 나왔다. 이러한 사실들은 사실상 부분적인 것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앞 으로 중요하게 다뤄질 것들인 것도 분명하다. 이에 일단 이러한 논의들 을 하여 앞으로 이들과 관계되는 보다 본격적이고 전체적인 논의들이 이뤄졌으면 한다.

Review on Some Subjects of Today’s Gangneung-dano-jae (강릉단오제)

Son, Tae-do

Gangneung-dano-jae (강릉단오제) is the almost only one natural Goeul-gut (고을굿, the provincial shaman ritual) of the traditional society that has been properly handed down to this day and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light of the long history of Gangneung-dano-jae, the history of Korean studies on it can be said to be extremely short. In addition, what one individual can do in such an academic world is extremely partial. Of the many things related to Gangneung-dano-jae like this, I have only touched on a few. The things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The ‘Sisittakttag-i’ (시시딱딱이, the name of the cast) of the Gwanno-gamyeon-geuk (관노가면극, the official slave mask play in Gangneung) came from the Bangsangsi (방상시. 方相氏. a major god of the Narye ceremoney) during the Narye ceremony (나례. 儺禮. a ceremony of the last day of one year) of the Gangneung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So it is really wrong to look like today with thin eyes and a short dagger hidden in the sleeve. We need to quickly return it to the original person of the Bangsangsi. The so-called ‘Heukae-deung’ (흑애등), which is hung high outside the ritual places of Donghaean-gut (동해안굿, the east coast shaman rituals), originated from ‘Heo-gae’ (허개. 虛蓋) in Buddhist rituals. Going back in time,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ourt music and folk music unlike today. Words are almost three and four characters in Korean take the same rhythm as 3․2․3 when sung. The rhythm method of Cheongbo-jangdan (청보장단, the major rhythm of Donghaean-gut in accompaniment of the song), such as ‘3ㆍ2ㆍ3’ in Donghaean-gut is the same as the 3ㆍ2ㆍ3 unit of Jeonggan-bo (정간보. 井間 譜. # shape music records) in court music and the 3ㆍ2ㆍ3 rhythm of Gagok (가곡. 歌曲. the high ranking people’s song) and Sijo (시조. 時調. the song similar with Gagok).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eongbo-jangdan, there is an appearance of speeding up like ‘1st chapter – 2nd chapter – 3rd chapter – 4th chapter – 5th chapter’, giving room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changes of these 3ㆍ2ㆍ3 rhythms according to the times. The Jungmori-jangdan (중모리장단, the one of the major rhythms of Pansori) rhythm of Pansori (판소리, very powerful and dramatic Korean narrative song) came from the ‘Samgongjaebi-jangdan’ (삼궁잽이장단) rhythm that remains today in Donghaean-gut and Gyeonggi-dodang-gut (경기도당굿). These facts are in fact partial.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lear that these are important things to be dealt with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se discussions will be held in more full-scale and overall sights in the future.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